“월 10만 원 저축하면 3년 뒤 최대 1,440만 원!”
정부가 청년·근로취약계층의 자산 형성을 위해 운영하는 ‘희망드림적금’이 2025년에도 계속됩니다.
특히 근로 중인 저소득 청년층, 자산이 적은 사회초년생, 일용직·비정규직 근로자에게 유리한 제도로, 저축 장려금 + 고금리 + 비과세 혜택까지 함께 제공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희망드림적금의 신청조건, 금리, 만기 수령액, 신청 방법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1. 희망드림적금이란?
희망드림적금은 정부가 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월 납입 적금에 정부 지원금을 더해주는 제도입니다. 만기 시점까지 성실히 납입하면 최대 1:1로 매칭해주는 형태입니다.
✅ 금융위원회·서민금융진흥원 주관
✅ 지원금은 이자 아닌 ‘현금성 장려금’
✅ 은행 금리 + 정부 지원금 +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포함
2. 신청 대상자 (2025년 기준)
- 만 19세 이상~34세 이하 청년
-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자 (연 2,400만 원 이하)
-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- 금융재산 5,000만 원 이하
- 현재 재직 중이거나 3개월 이내 근무 이력 보유자
※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우선 선발
3. 납입 구조 및 수령액 예시
항목 | 내용 |
---|---|
월 납입금 | 10만 원 또는 20만 원 선택 가능 |
납입 기간 | 최대 36개월 (3년) |
정부 지원금 | 최대 1:1 매칭 (월 10만 원 한도) |
금리 | 약 3.5%~5.5% (은행별 차이 있음) |
만기 총 수령액 | 최대 약 1,440만 원 (이자 + 정부지원 포함) |
※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금 회수
4. 실제 수령 시뮬레이션
① 월 10만 원 × 36개월 + 지원금 + 이자
본인 납입: 360만 원
정부 지원금: 360만 원
이자(예시 4%): 약 30만 원
👉 총 수령액: 약 750만 원
② 월 20만 원 납입 시 (지원금은 10만 원까지)
본인 납입: 720만 원
정부 지원금: 360만 원
이자: 약 60만 원
👉 총 수령액: 약 1,140만 원
5. 신청 방법
✅ 온라인 신청:
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
✅ 오프라인 신청:
우리은행, KB국민은행, 신한은행 등 지정 금융기관 방문
신분증 지참, 근로소득 증빙서류 제출
✅ 제출서류:
- 주민등록등본
- 소득확인서 (근로·사업소득)
-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등
6. 유의사항
- 반드시 신청 후 선정되어야 가입 가능
- 소득·재산 요건 미달 시 탈락 가능
- 이중 가입·중복지원은 불가
-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금 회수되며 이자만 수령
2025 희망드림적금은 단순한 저축이 아닙니다.
정부가 함께 저축하는 든든한 자산 형성 제도입니다.
지금 나의 조건이 맞는다면, 망설이지 말고 신청부터 해보세요.